금융소득은 우리가 흔히 접하는 이자나 배당 소득같은 투자 수익을 포함하며, 세금 측면에서도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절세도 투자의 일환이라고 생각하고 신경써야 한다. 모든 금융 소득이 동일하게 과세되는 것은 아니다. 소득 금액과 유형, 상품에 따라 금융소득 종합과세와 금융소득 분리과세로 나뉘며, 각각의 방식은 세금 계산식과 부담에 큰 영향을 미친다.
이 글에서는 금융소득 종합과세와 금융소득 분리과세의 개념과 차이를 쉽게 이해할 수 있게 설명하고, 각 방식이 개인의 절세 전략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자. 이를 통해 자신의 소득 상황에 맞는 절세 방식을 선택할 수 있게 도움이 되길 바란다.
금융소득 종합과세
금융소득 종합과세는 일정 기준 이상으로 금융소득을 다른 소득과 합산하여 종합적으로 과세를 적용하는 방식이다. 금융소득에는 이자소득, 배당소득, 투자소득(매매차익)이 있다. 이는 고소득자에게 더 높은 세율을 적용하여 소득 재분배 역할을 촉진하는데 목적을 둔다.
예를 들어, 만약 금융소득이 연간 3000만 원이라면, 2000만 원을 초과하는 1000만 원이 다른 소득과 합산되어 종합소득세율이 적용된다. 이런 경우에는 누진세율로 인해 소득세 부담이 크게 증가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금융소득 분리과세
금융소득 분리과세는 금융소득을 다른 소득과 합산하지 않고 다른 소득과 분리하여 과세하는 방식이다. 주로 소득 금액이 낮거나 특정한 소득에 대해 적용된다.
예를 들어, 연간 금융소득이 1,500만 원이라면, 별도의 고정 세율 15.4%만 적용되며, 종합소득세 신고가 필요하지 않다. 상대적으로 낮은 세금 부담으로 간단하게 처리할 수 있다.
금융소득 종합소득와 금융소득 분리과세 4가지 차이점
항목 | 종합과세 | 분리과세 |
적용 기준 | 연간 금융소득 2,000만 원 초과 | 연간 금융소득 2,000만 원 이하 |
세율 | 누진세율 적용 | 고정 세율(15.4%) 적용 |
신고 의무 | 종합소득세 신고 필요 | 원천징수(별도의 신고 의무 없음) |
세금 계산 복잡성 | 복잡 | 간단 |
금융소득 과세 적용
세법에서는 소득을 종합소득, 연금소득, 양도소득, 투자소득으로 나누고 있다. 이때 금융소득은 종합소득에 속한다. 금융소득은 저축 및 투자 소득을 의미하고 예금 및 적금 이자, 주식 배당금, 채권 이자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
- 종합소득 : 이자, 배당, 근로, 연금, 사업, 기타소득
- 퇴직소득 : 퇴직할 때 발생하는 소득
- 양도소득 : 특정 자산을 양도함으로써 발생되는 소득
- 투자소득 : 주식, 채권, 파생상품 거래, 증권 양도 등을 통해 발생하는 소득
종합소득세 세율 (2023 귀속)
과세표준 | 세율 | 누진공제 |
14,000,000원 이하 | 6% | – |
14,000,000원 초과 50,000,000원 이하 | 15% | 1,260,000원 |
50,000,000원 초과 88,000,000원 이하 | 24% | 5,760,000원 |
88,000,000원 초과 150,000,000원 이하 | 35% | 15,440,000원 |
150,000,000원 초과 300,000,000원 이하 | 38% | 19,940,000원 |
300,000,000원 초과 500,000,000원 이하 | 40% | 25,940,000원 |
500,000,000원 초과 1,000,000,000원 이하 | 42% | 35,940,000원 |
1,000,000,000원 초과 | 45% | 65,940,000원 |
분리과세 상품, 비과세 상품
비과세 상품은 해당 상품의 금융소득에 대해 세금을 부과하지 않는 상품이다. 대표적인 상품은 비과세종합저축, 조합 예탁금, 장기 저축성 보험이 있다. 분리과세 상품으로는 isa 계좌가 대표적이다.
- 저축성 보험
- 연금 계좌
- 물가 연동 국채
- 브라질 국채
- isa(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
- 해외주식투자전용펀드
- 비과세 종합저축
- 하이일드 펀드(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
- 조합 예탁금
- 분리과세부동산펀드
금융소득 종합과세 피하는 방법
주식 투자를 하는 사람들에게 최대 고민거리인 금융소득 종합과세는 최대한 효율적인 전략으로 피해야 한다. 결혼을 했다면 남편, 아내의 계좌를 사용하여 연간 2,000만 원을 맞춰야 한다. 예를들어, 남편의 계좌에서 연간 2,000만 원 이상 금융소득이 발생한다면, 아내 계좌에서 새롭게 투자하는 방법이 있다. 이런 방법으로 종합과세를 피할 수 있다.
또는 소득공제와 세액공제를 활용하여 소득을 낮추고 납부해야 할 세금을 줄이는 방법도 있다. 소득공제와 세액공제도 여러 방법들이 있다. 나의 소득 현황에 맞게 소득공제에 집중해야 하는지, 세액공제에 집중해야 하는지 이해해야 한다.
금융소득 분리과세 활용하는 방법
금융소득 분리과세는 잘 활용하기 위한 방법은 여러 방법이 있지만 우리가 흔히 할 수 있는 방법은 isa 계좌를 이용하는 방법이다. 국내 상품에만 투자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지만 주식 투자자들이 비과세, 절세 효과를 누릴 수 있는 최고의 계좌다. 만기가 되면 연금 계좌로 이전하여 추가적인 절세효과를 볼 수도 있다.
이 글과 함께 읽으면 좋은 핵심 내용
금융소득 종합과세와 금융소득 분리과세의 주요 차이점은?
종합과세는 누진세율이 적용되며, 금융소득이 다른 소득과 합산됩니다. 반면, 분리 과세는 고정 세율로 독립적으로 과세됩니다.
금융소득 종합과세를 피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금융소득을 2,000만 원 이하로 유지하거나, 소득을 분산시켜 분리 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분리 과세가 유리한 경우는?
금융소득이 낮고 단순한 세금 계산을 원하는 투자자에게 유리합니다.
금융 소득 조회하는 방법은?
[홈텍스] 조회 경로 : 조회/발급 → 세금신고납부 → 전자신고결과조회
글을 마치며
금융소득 종합과세와 금융소득 분리과세는 금융소득의 금액과 유형에 따라 다른 방식으로 적용된다. 연간 금융소득이 2,000만 원을 초과한다면 종합과세가 적용되며, 종합소득세율에 따라 세금 부담이 커질 수 있다. 반면, 2000만 원 이하인 경우 분리과세를 통해 15.4% 고정 세율로 원천징수 된다.
자신의 금융소득 규모와 투자 전략을 파악하고, 절세 전략을 최적의 방법으로 세우는 것이 중요하다. 이는 과세에 대한 이해를 하고 준비를 해야 세금 부담을 줄이고, 재정적인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